반응형

연양탁상

반응형

 연양탁상

 

 

 연양탁상

 

 

 

정의
제주도굿에서 굿을 할 때 차려 놓는 제상.

내용
연양탁상은 ‘연향탁상’이라고도 한다. 이 연양탁상은 달리 한자말로 추정하고 영연탁상(靈筵卓床)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제주도굿을
당클을 매지 않고 할 때에는 오로지 이 탁상만을 차려 놓고 굿을 하기 때문에 이를 탁상굿의 전형으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 이 탁상을 놓지 않고 굿이나 맞이를 하는 경우도 있어서 지역적 편차가 존재한다. 예를들어 서귀포시의 성산읍, 표선면, 남원읍, 서귀포동 등지에서는 이러한 탁상을 놓는 굿을 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탁상의 용례는 지역적 분포와 일정한 관련을 맺고 있다. 서귀포시의 안덕면ㆍ중문동ㆍ대정읍, 제주시의 한경면ㆍ한림읍ㆍ애월읍ㆍ조천읍ㆍ구좌읍의 일대에서는 탁상을 놓고 굿을 하는 것이 예사이다. 또한 탁상굿을 하는 경우에도 이 탁상을 사용한다. 즉 갈영 명감코시, 푸닥거리, 성주일월맞이, 요왕맞이 등을 할 때 이 탁상을 놓고 병풍을 두르는 일을 한다.
연양탁상은 굿의 지역적 분포를 통해 굿의 기본적인 방식을 결정하는 요인 가운데 하나인 동시에 굿 갈래의 위계와 종류를 가를 때 일정한 기능을 하면서 사용하는 용례가 된다. 당클을 매는 굿과 당클을 매지 않는 굿 등의 차이, 굿의 종류나 차이 등을 분별함에 있어서도 이것은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
연양탁상을 배설함에 있어서는 일단 제상 뒤에 병풍을 친다. 병풍은 기메를 화려하게 하지 않고 ‘전지’를 대나무 두 개에다 세우고 여기에 칙지 두 개를 두른다. 굿의 종류에 따라 여기에 ‘리’를 걸기도 한다. 명감리와 같은 것을 걸어서 인정을 걸기도 하거나 지전을 걸기도 한다.
연양탁상은 삼천전저서궁 또는 어궁 아래에 두기도 한다. 연양탁상의 상 차림새는 다음과 같다.



연양탁상의 가장 앞에는 주잔삼잔을 가운데로 하여 향로, 찻물, 촛대가 놓인다. 그 뒤로 실과가 놓이고, 다시 그 뒤에는 채소가 놓인다. 다음으로 떡이 놓인다. 떡은 제주도에서 널리 사용되는 돌래떡을 놓는다. 다음 줄에 시루떡을 가운데에 놓고 양편으로 다시 메와 쌀을 놓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사상의 일반적인 용례와 다를 뿐 아니라 조상이나 군웅일월, 산농일월, 요왕일월, 제석일월, 책불일월, 백파일월 등을 위하는 특별한 의의가 있는 상이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굿에서
연양탁상은 각별한 의의를 지닌다. 신을 위하는 굿상이 전적으로 당클을 위한다면 이러한 탁상은 인간의 조상 반열에 들어 있는 존재를 위해서 설치되고 이것을 기준 삼아서 조상을 위한다는 특징을 보인다. 이런 점에서 연양탁상은 매우 이례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반응형

'바로 여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게상 [靈駕床]   (0) 2015.01.31
연지당상  (0) 2015.01.22
역가상 [役價床]   (0) 2015.01.22
액막이상   (0) 2015.01.22
안당제석상   (0) 2015.01.22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