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액막이상

반응형

 액막이상

 

 

 

 액막이상

 

 

 

정의
액을 막고 복을 기원하는 액그릇이 진설된 상.

 

내용
액맥이상으로도 불리며, 호남 지역의 굿에서 제물상과 별도로 차려진다. 액막이상은 액그릇으로 구성되며, 액그릇은 쌀·실·초·수저·돈으로 만들어진다. 액막이상이 무속의례에 사용된 유래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쌀·돈·실·초·수저로 구성되는 액그릇이 쌀·돈·실·수저 등으로 구성되는 돌잡이 및 돌떡 답례물과 비슷하다는 점에서 액을 막고 길운(吉運)을 기원하는 한국인의 사고가 무속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액그릇은 의례 주재자인 당골이 의례 직전에 만들며, 의례 도중에 추가되기도 한다. 액그릇은 밥그릇·초·돈·무명실·숟가락·생미(生米)가 준비되면 밥그릇 안에 쌀을 7부쯤 담고 숟가락에 돈과 실을 돌려 만 다음 초를 꽂는다. 간혹 수저와 실은 생략되기도 한다. 원래 액그릇에서는 그 구성원의 나이 수에 맞게 실의 수를 세어서 수저에 둘러 고정시켰으나 근래에는 숟가락에
실타래를 통째로 둘러놓는다. 완성된 액그릇을 진설한 액막이상은 안당상이나 성주상 앞에 놓이며, 액그릇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이들 제물상 위에 올려놓기도 한다.


호남 지역 의례에서
액막이상 앞에서는 의례의 시작을 알리는 안당이 진행되며, 이 과정 에서 액막이 고사가 행해진다. 또한 각각의 거리가 끝날 때마다 쌀을 뿌리면서 액이나 살을 막아주기를 바라는 무가를 부르거나 사설을 읊으면서 액막이 의식을 간략하게 행한다. 대체로 “성주아관 모셔놓고 자손치시 품에 안고 복줌치는 손에 들고 배날듯이 실날듯이 청자받어 오실적에…”로 시작하여 액을 막고 장수, 자손의 탄생, 복을 기원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 내용은 굿을 의뢰한 재가집의 환경이나 의례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기도 한다.


액그릇은 다른 지역에도 나타난다. 『朝鮮巫俗の硏究』(下)에 서울굿의
제석상에 액그릇이 진설된 기록이 있으며, 현재도 생미 한 대접 위로 식구 수대로 숟가락을 꽂고 그것을 붉은 실과 흰 실로 엮은 것을 올린다. 즉 실처럼 긴 수명과 쌀의 풍요로운 생산의 상징적인 표현으로 분석된다. 또한 성주시루에도 밥그릇에 생미를 담은 후 숟가락을 꽂고 흰 실을 감아 액그릇을 만드는데, 남자구성원의 수만큼 올린다. 서울굿에서의 사례는 호남 지역에서 별도로 상이 마련되는 것과 다르지만 의미가 동일하다. 또한 액을 막기 위해 액그릇의 구성요소를 제물상 위에 진설하지 않고 의례 과정에서 각각 신에게 바치는 사례가 경기도 시흥시 군자성황제의 맞이거리에서 행해지고 있다. 신앙자는 의례 중에 주재자에게 직접 쌀·실·초·술 등을 올리고 공수를 받는다. 이 사례는 마을굿에서 액막이를 행하는 것으로, 신앙자의 가정에 닥칠지 모를 액을 막는 동시에 재수와 재복을 신이 직접 기원해 주는 것으로 믿어진다.


액막이상은 개인굿과 마을굿, 재수굿과 천도굿 등 의례의 종류나 성격과 상관없이 차려진다. 액그릇은 재액을 막아주는 기능을 하며, 재가집의 개인굿에서 액그릇을 모든 가족의 몫으로 만들지는 않았다. 액그릇은 서울 지역 굿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족 중에 남성 구성원 위주로 만들었다. 혹은 그중에서도 특히 그해 운이 좋지 않다는 점괘를 받았거나 일이 잘 풀리지 않는 남자 구성원의 것만을 만들어 재액을 막아보려는 기능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는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가족 구성원의 수만큼 만드는 것으로 변형되었다. 마을굿에서는 신앙자나 마을주민들이 가족 전체의 것을 액그릇 하나만을 만들거나 특별히 그해 운세가 좋지 않은 가족 구성원 것만 추가하여 따로 만들기도 한다.


액그릇의 구성인 쌀·돈·실·초 등은 곧 신에게 바치는 예단(幣帛)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신에게 이와 같은 제물을 받침으로써 액을 물리치고 장수와 경제적 풍요를 기원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액막이상은 부와 복, 건강과 장수를 기원하고 가난·불행·질병을 막아주기를 기원하는 상징적 의미가 지배적이다. 액맥이상의 구성은 돌을 맞는 아이에게 차려주는 돌상에 놓이는 돌잡이의 구성과 유사하다. 최남선의『조선상식(朝鮮常識)』에 의하면, “兒生한지 周年이 되면…米·麪·錢·絲·弓·書冊·紙筆墨 等을 소반에 수북이 담아서 이것을 ‘돌상’이라 이르고…그 擇한 바로서 미래[來後]를 卜호대 錢 혹 穀이면 富, 麪 혹 絲면 壽, 書冊이면 문학으로 현달(顯達)하리라 하여 가로되 ‘돌잡힌다’라고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돌잡이에서 면과 실은 수명(壽命)이 길거라 점치고, 쌀·돈·수저는 재물(財物)을 모아 경제적 풍요를 보장하는 부자(富者)가 된다고 해석한다. 또한 돌떡을 나눠먹었을 때에 답례로 주는 물건으로 쌀, 돈, 실, 밥그릇 등이 있다. 이는 아기의 장래를 위한 귀복장수(貴福長壽)를 빌고 액을 막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서울굿에서 출산과 무병장수를 관장한다고 믿어지는 불사상에 액그릇을 올리는 것 또한 돌잡이와 돌답례품이 지니는 의미와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액그릇의 백미(白米)는 재앙을 물리치고 부를 가져다주는 의미를 지닌다. 돌잡이에서도 쌀은 부와 복을 상징하는 의미이며, 돌떡을 먹은 사람들은 쌀로 보답하기도 한다. 씻김굿에서 쌀은 액을 막기 위한
액막이를 위해 뿌려진다. 호남 지역에서 쌀은 액막이쌀(厄米) 혹은 제석쌀(帝米)로 불리는데 이것은 그 기능에 따라 부여된 호칭이다. 액막이쌀은 액막이와 귀신을 쫓는 ‘벽사(辟邪)’의 의미를 지닌다. 또한 쌀은 부와 복을 기원하는 의미이다. 특히 제석쌀은 노적(露積)의 의미를 지닌다. 돈과 숟가락도 쌀과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 실은 무병장수를, 초는 장수의 의미와 앞날이 초처럼 밝게 밝혀져 무탈하기를 바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귀복장수(貴福長壽)를 기원하는 돌잡이와 돌떡 답례품 중에 액그릇의 구성 요소와 공통으로 나타나는 것은 쌀·돈·실·숟가락이다. 돌잡이는 미래를 점치는 데에 목적이 있고, 액그릇은 더 나은 미래를 기원하고 나쁜 액을 예방하기 위해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목적이 다르다. 그러나 구성 요소에 대한 해석은 동일하다는 점에서 한국인의 사고가 반영된 기원물(祈願物)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액막이상은 액을 막고, 무병장수와 경제적 풍요를 기원하는 목적을 띤다는 점에서 제액초복(除厄招福)을 기원하는 무속의 사고를 잘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액그릇은 흉운(兇運)을 막고, 길운(吉運)을 기대하는 무속 신앙자의 기대심리가 잘 반영된 물질이라 할 수 있다.

 

반응형

'바로 여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양탁상  (0) 2015.01.22
역가상 [役價床]   (0) 2015.01.22
안당제석상   (0) 2015.01.22
안당사경맞이상   (0) 2015.01.22
성주상   (0) 2015.01.22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