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당제석상
정의
출산과 자녀의 건강을 관장하는 가신 중의 하나인 산신(産神)을 위한 제물상.
내용
안당제석상은 서울·경기굿인 안당제석굿 의례를 위해 안방에 차려지는 제물상이다. 주로 작은 소반이나 쟁반에 음식을 진설하는 형태이며, 그날 굿상에 차려질 제물의 종류 중에 떡·과일 등이 주로 올려진다. 떡은 백설기 한 조각, 과일은 사과·배 등이 올려진다. 다른 가신들은 떡과 술 한 잔을 올리지만 유일하게 삼신제석을 위한 상에는 과일이 올려지고 술은 생략된다.
서울·경기굿에서는 천신불사(혹은 천신제석·천궁)를 초대한 경우 의례의 후반부에 제석굿을 따로 논다. 이때 집 안
안당제석상 앞에서 간략하게 의례를 진행하고, 다른 가신들이 좌정된 공간에서 그들을 위하기도 한다. 무당은 무복을 착용하지 않고 대신 평복이라 불리는 한복 치마저고리 차림으로 의례를 진행한다. 이는 전반부에서 진행된 천신불사와 구분하기 위한 의도를 나타낸다.
서울·경기 지역에서는
재수굿을 행할 때 집안 곳곳에 가신을 위한 상을 마련한다. 그중에 하나가 바로 안당제석상이다. 안당은 안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안방에 좌정한다고 믿어지는 가신을 위한 상차림이라는 의미에서 안당제석상이라 불린 것으로 보인다. 이는 굿청의 중심부에 차려질 불사상(혹은 제석상)과 구분하기 위한 의도가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천신에 해당하는 제석과 집 안에 좌정된 가신인 삼신제석과 구분하기 위함으로써 무속신과 가신을 제물을 통해 구분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삼신제석은 한 집안의 출산을 관장하는 가신의 직능을 지닌다. 제석 또한 출산을 관장하는 신으로 인식되지만 무속신의 위계에서 천신과 가신은 구분되는 것으로 보인다.
안당제석상에 올려진 제물 중에 백설기는 삼신제석의 성향을 현시적으로 보여 주는 무속의 표현 방식이다. 삼신제석은 출산을 관장하는 신으로서 천신인 불사의 영향을 받아 육식을 하지 않는 신으로 인식하고 제물 또한 흰색의 음식만을 올리는 것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즉 제석신은 육식을 좋아하는 육대감과 그 신의 성향이 반대되는 소신(素神)으로서 육식과 술을 즐기지 않는 신으로 인식된다. 백설기를 올리는 이러한 제석의 성향이 삼신제석에게도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출산이라는 중요한 직능을 관장하는 신으로서 항상 정결하게 다루어져야 한다는 인식도 제물 안에 내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제물에 있어서도 떡만을 올리지 않고 과일류 등을 추가로 올린다는 점에서 성주 다음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신이라 할 수 있다. 성주를 위한 제물은 시루째 봉안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 외의 다른 가신들은 시루편으로 올리거나 혹은 그 편을 조각내 올리기도 한다. 이 또한 제물을 통해 그 신의 위계를 표현하는 무속의 한 방식이다.
근래에 들어와서, 서울·경기굿에서
안당제석상을 따로 차리는 사례는 많지 않다. 대체로 오랫동안 무업에 종사한 무당이 자신의 집안에 진적굿을 할 경우나 오랫동안 무업을 신앙한 신앙자에게서만 나타나는 사례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