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할망상 텃대감상 큰굿상 청계상 천궁맞이상

반응형

할망상

 

 

정의
산신인 삼승할망을 위하여 차린 상.

내용
산신에게 아이가 무탈하게 자라게 해 달라고 기원하거나 그간의 보호에 감사를 올린다. 삼승할망은 아이의 출산과 산육을 관장하는 신이다. 할망상은 굿을 할 때 안방의 궤 위에 차려 올리는 경우와 아기를 낳은 지 3일, 7일 등에 차려 올리는 경우가 있다. 3일은 나중에 각도비념이라는 제차에서 할망비념을 한 뒤에 철변한다. 이 경우에는 메와 생선, 채소, 과일 등과 함께 할망송낙, 소지, 명실 등을 함께 올린다. 기주가 건 인정은 다시 돌려 준다. 그리고 차려 올렸던 제물도 기주에게 준다. 7일은 아이를 순산하게 하고 건강하게 키워주는 데 대하여 감사의 의미에서 차리는 것으로, 아기가 눕는 방에 차린다. 할망상에는 메 3그릇, 찬물, 미역 채소 등 세 접시와 쌀·명실을 함께 올린다.
이때
할망상에 차려 올리는 메를 흔히 ‘치셋메’라고 한다. 치사(致謝)하는 의미로 올리는 메라는 뜻이다. 사흘메, 이메라고 구분하여 칭하기도 한다. 메가 세 그릇인 이유는 삼승할망, 구삼승할망, 업게삼승 등에게 각기 바치기 위함이라고 한다. 메에는 엄지 길이 정도로 잘라낸 띠를 둘씩 세 곳에 꽂는다. 이를 ‘무남제’라고 한다. 사흘메를 차릴 때는 아이를 낳은 지 3일 되는 날 아침에 아이 머리맡에 산모의 치마를 깔고 그 위에 상을 놓는다. 이때 차린 제물은 내려 산모에게 음복하도록 한다. 특히 메는 적어도 세 숟가락은 먹어야 하는 것으로 믿는다. 찬물은 댓돌 아래쪽으로 살짝 비운다. 아이가 귀하거나 조금 까다로운 때는 이메도 차린다. 역시 속치마를 깔고 상을 차리되 상 위에 백지를 깔고 메, 찬물, 쌀, 명실, 돈, 소지 등을 올린다.
점차 아이가 무탈하게 자라는 경우에는 생략하는 경향이 늘어서 아기가 탈이 생겼을 때나
할망상을 차려 기원하는 사례가 많았다. 이때는 특별히 삼승할망이라고 하는 빌어 주는 이를 청하여 비념을 한다. 삼승할망은 본격적인 굿은 하지 못하고 간단한 아기비념만을 주로 하는 무속인을 말한다. 아이가 건강하지 못하고 자꾸 앓아 9살이 될 때까지도 매달 할망상을 차렸다고 하는 사례도 있다.
할망상과 관련한 의례는 출산과 산육의 어려움이 그대로 반영된 것들로 옛 사람들이 아이의 산육에 얼마나 많은 관심을 기울였는지 알 수 있다. 이 의례는 출산과 산육에 따른 어려움이 줄어들면서 자연스럽게 잊혀지고 있다.
할망상과 관련되는 의례는 많다. 태의 처리를 비롯한 산후속, 구삼승할망, 마누라배송 등의 의례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텃대감상

 

 

정의
터를 관장하는 텃대감 몫으로 마련되는 굿상.

내용
서울굿의 상산거리에서는 장군님, 별상님, 신장님, 대감님, 텃대감님을 차례로 모신다. 마지막으로 텃대감님을 모실 때에는 텃대감을 상징하는 쾌자를 입고 안올림 벙거지를 어깨에 걸친 후 부채를 든다. 텃대감상에는 팥시루, 우족 두 개, 막걸리를 올려놓는다. 텃대감신이 들어오면 텃대감상을 인 채로 막걸리를 마시며 이곳저곳 터를 밟고 다면서 텃대감을 놀린다.

 

 

 

 

큰굿상

 

 

정의
마을의 대동굿, 진적굿, 오귀굿 등 큰굿에서 준비되는 제상으로서 일정한 규모와 격식을 갖춘 상차림.

내용
마을의 대동굿, 몸주신을 위한 진적굿, 격식을 온전히 수행하는 오귀굿 등 큰굿에서 준비되는 제상으로서 일정한 규모와 격식을 갖추고 있다. 한국 무속의 굿은 세 층위로 대별할 수 있다. 첫 번째 가장 간단한 비손 형태의 개인굿이다. 이때는 물 한 그릇, 명태, 술, 삼실과 등의 간단한 제상만 준비된다. 특별히 상이라고 할 만한 준비가 없이도 가능한 굿이다. 두 번째 주로 재가집굿에 해당하는 것으로, 재수굿·성주굿·조상해원굿 등 작은굿이다. 굿의 규모에 따라 큰굿과 작은굿을 오가지만 대체로 재가집굿은 굿을 하게 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집중하기 때문에 작은굿이라 할 수 있다. 물론 같은 재수굿이라도 규모에 따라 2일 이상 하면서 전통적인 온굿을 제대로 갖추어 하게 되면 큰굿상으로 준비하기도 한다. 세 번째, 마을의 대동굿(별신굿, 부군당굿, 단오굿, 고창굿, 연신굿, 도당굿 등), 진적굿(꽃맞이굿), 오귀새남굿 등의 큰굿이다. 큰굿에서는 온갖 신을 모두 모시게 되어 있어 굿상의 규모나 정성 면에서 작은굿과 확실히 차별화되는 양상을 보여 준다. 신들에게 바치는 굿상의 규모와 더불어 굿에 참여하는 사람들까지 넉넉히 먹일 수 있을 정도의 음식이 준비되는 것이다.
특히 큰굿에서는 큰굿임을 드러내는 특별한 제물과 굿상이 등장한다. 예를 들면 정성이 많이 필요한 고임, 도적, 용떡, 소, 돼지 등이 사용된다. 또한 주된 신격에 더해 각 직능신에 대한 상들을 따로 준비하기 때문에 규모와 정성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서울새남굿의 대상은 중심 제상으로 상산상·망자상·조상상 등을 차리고, 하단에 대안주상을 차리며, 굿의 진행에 따라 불사상 등을 차린다. 최영 장군 당굿에서는 최영 장군상, 일월맞이상, 산신상, 안서낭상, 소대감상, 육대감상 등을 차린다. 김유감진적굿에서는 청계상, 가망상, 전안상, 불사상, 도당상, 본향상, 대신할머니상, 조상상, 대안주상, 대감상, 터주소반, 돼지대감소반, 수문장대감소반, 안당제석소반, 성주시루, 뒷전상 등을 차린다.
황해도굿에서는 소대감상과 육대감상을 구분하여 진설한다. 상차림에 있어서 왼쪽은 육대감, 오른쪽은 소대감을 위한 제물로 이원화한다. 이것은 의례 구조가 상차림에 반영된 현상으로 소대감(素大監)은 비린 것을 올리지 않는다는 점이 특징이다. 대체로 육대감은 감흥·장군·대감, 소대감은 칠성·제석 등을 각각 말한다. 이는 소대감굿과 육대감굿으로 이원화된 황해도굿의 특성이 굿상에 표출된 것으로 해석된다.
전라도 지역의 천도굿 제차인 씻김굿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차려지는 상차림은 안당상(혹은
성주상), 굿상, 사자상이다. 다른 지역에 비해 대체로 간소한 형태이지만 씻김굿의 규모에 따라 제물의 양과 질에서 차이가 난다.
동해안별신굿에서는 마을마다 모셔지는 동신에 대한 큰굿상이 준비될 뿐 아니라 별신굿 굿청에 특별히 모시는 신격에 대한 큰상이 전면을 가득 채우게 되고, 그 하단에 직능별 신격과 관련한 상이 마련된다. 또한 마을회관 등에 모셔진 마을성주를 위한 성주상, 용왕신을 위한 용왕당 등이 따로 준비된다. 하지만 주로 굿이 이루어지는 굿청 안에는 여러 상을 준비하지 않고 약간의 변화만을 주는 방식으로 각 굿거리의 신격을 표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만 마을에 따라서는 집집마다 상을 준비해 와서 진설하기도 한다.
큰굿상의 종류와 상차림은 해당 굿의 특성과 신격을 파악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차림의 방법이나 양, 질을 통해 해당 굿 공동체에서 인식되고 있는 신의 서열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굿상의 규모와 종류 및 상차림의 내용을 통해 해당 굿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으며, 굿의 제차와 굿상이 연동되는 양상에 대해 주목함으로써 한국 굿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청계상

 

 

정의
서울굿에서 청계배웅거리에 차리는 제물상.

내용
청계배웅거리는 산에 다녀온 만신에게 정화를 행하는 의식으로 부정거리 후에 들어간다. 산에서 모셔온 신령을 맞이하면서 함께 따라온 잡귀와 잡신격을 ‘청계를 가시라’고 배웅한다고 하여 청계배웅상이라고도 부른다. 청계배웅상은 진적굿 중에서도 드물게 나타난다. 굿 제차상 산에서 신령을 모셔온 경우가 아니면 필요하지 않은 굿거리이기 때문이다. ‘청계’는 창부나 광대가 죽어서 된 귀신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산에서 왔다는 점을 미루어 보아 ‘창귀’(범에게 물려 죽은 후 붙어다니면서 먹을 것이 있는 곳으로 인도한다는 귀신)를 가리킬 가능성이 높다.
청계배웅상은 현관 밖에 차린다. 팥떡과 술이 주된 제물이며, 좁쌀을 담은 그릇이 쓰인다.
팥떡 세 접시, 산자, 삼색나물, 술 세 잔을 올린다. 정화 대상이 한복 또는 보자기를 뒤집어쓰고 앉아 있으면 청계배웅거리를 맡은 무당이 좁쌀, 막걸리, 소지 순으로
부정을 막는다. 북어를 칼처럼 이용하여 부정을 찍어내기도 한다. 끝난 후에는 좁쌀그릇에 청계상에 올린 제물들을 섞어 넣고 북어 머리를 뜯어 넣어서 계단 입구에 둔다.

 

 

 

 

천궁맞이상

 

 

 

정의
서울굿에서 천궁맞이에 쓰이는 제물상.

내용
천궁맞이상은 원래 재수굿에서도 차렸다고 하지만 현재는 주로 신굿과 진적굿에서만 볼 수 있다. 천궁맞이상은 굿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가장 먼저 차리는 상이기도 하다. 반드시 하늘이 열린 곳에 차려야 하기 때문에 전통 한옥의 경우 마당에, 굿당에서는 창문 옆이나 문 밖에 차린다. 복장과 제차, 제물 모두 불사거리와 유사하다. 천궁맞이상, 불사상, 안당제석상은 어느 정도 상호 교환이 가능하다. 천궁맞이를 따로 하지 않는 진적굿에서는 불사거리가 동일한 역할과 내용을 보인다. 다만 ‘천궁’이라는 이름에서 불사거리나 제석거리에 비해 천신(天神)의 의미가 짙어짐을 알 수 있다.
떡의 종류와 수는 굿의 규모와 상황에 따라 달라져서 3접시, 6접시, 10접시 순으로 늘어난다. 같은 굿에 차린
불사상보다 떡의 수와 종류가 많아야 한다는 것이 기본 원칙이기 때문이다. 굵은 가래떡인 방망이떡은 한 접시에 세 개에서 여섯 개를 놓는다. 여기에 불사시루를 놓고, 다른 떡을 더한다. 대신시루를 함께 올리기도 한다. 대신할머니시루라고도 하는 대신시루는 멥쌀과 콩을 섞어서 쪄내는 콩설기를 말한다. 용떡을 쓴다는 언급도 있다. 용떡은 전통 혼례식에 나오는 떡으로, 가래떡을 둥글게 빚어 용틀임 형상으로 만든 떡이라는 기록과 함께 절편을 양푼에 굵직하게 틀어올려 용신에게 바치는 떡이라는 기록이 있다. 기본적으로는 흰색이며, 노란색과 푸른색도 가능하다. 붉은 팥떡은 쓰지 않는다.
맑은 물을 3그릇 올린다. 물 대신 차를 쓰기도 한다. 이 차는 보통 찻잎을 우려낸 것이 아니라 물에 대추나 통후추를 띄운 것으로 대추차·후추차(호초차)라고 부르며, 무가(巫歌)에도 언급된다. 이는 단순한 물보다 한층 정성을 다한 것으로 여겨졌다. 드물게 술을 올리는 굿도 있다.
나물은 흔히 삼색나물을 쓴다.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가 기본이며 시금치 대신 숙주 또는 무나물을 쓰기도 한다. 1970년대까지는 숙주 또는 무나물을 쓰는 경우가 더 많았다고 한다. 삼색나물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있다. 각 나물이 신과
조상과 인간을 상징한다는 설명도 있고 하늘로 자라는 고사리, 땅에서 캐는 도라지, 물에서 나는 숙주라는 설명도 있다. 드물게 튀각을 더하기도 한다.
생밤과 생대추를 접시에 놓고 나머지 과일로는 사과·배·감을 기본으로하여 3, 5, 7, 9, 12종으로 늘어나면서 복숭아를 빼면 종류에 제한이 없다. 조과는 산자, 약과, 다식을 기본으로 3-5-7-9-12종으로 늘어나며 옥춘·팔보·하스·밤과자·곶감 등도 볼 수 있다.
음식 외에
불사상에서 볼 수 있는 무구로는 상 안쪽에 흰 종이를 접은 고깔, 흰 창호지 한 장을 여러 번 접어서 오려 만든 불사전, 한지를 길게 3등분하여 꼬아 꽃잎 모양으로 만들어서 떡 위에 놓는 새발심지가 있다. 새발심지는 굿당에서 흔히 볼 수 없다.
천궁맞이 중에는 옆에 놓아둔 물동이를 타면서
공수를 하는 과정이 있다. 이를 ‘용궁을 탄다’고 표현한다. 주로 무병장수와 집안의 안녕을 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