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안상

2015. 1. 31. 05:32바로 여기지

반응형

전안상

 

 

 

정의
전안은 전내(殿內)를 가리키는 말로 신당 안에서 가장 중심에 있는 신령을 가리키며, 전안상은 이 신령을 위해 차린 상차림.

내용
보통 전안대감신 혹은 전안장군신이라고도 하기 때문에 전안상은 무당의 몸주 신령에 따라서 장군상이 되기도 하고 대감상이 되기도 한다. 전안상의 유래에 대해서는 분명한 기록이 보이지 않지만 1825년 또는 1885년에 작성된 것으로 추측되는 난곡(蘭谷)의 『무당내력(巫黨來歷)』에서의 대거리상은 최영 장군을 모신 장군상으로 보인다. 큰상에는 수파련꽃이 가장 안쪽에 놓였고 그 앞에 계피팥떡, 또 그 앞에 누름적과 세반강정이 자리를 잡았다. 그 앞에는 양쪽에 촛대가 하나씩 올랐고, 안쪽에는 왼쪽부터 산자·약과·배·감·계면떡이 차려졌다. 작은 상에는 3개의 술잔, 산적, 향이 올랐다. 이로 미루어 전안상은 조선 후기에도 존재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서울 밤섬
도당굿의 상차림은 크게 전안상, 당마루상, 뒷전상으로 나누어 준비된다. 뒷전상을 제외한 전안상과 당마루상은 굿이 시작되기 전에 준비된다. 전안에 모시는 세 신령은 각각 신격이 다름에도 기본적인 상차림은 같은 구조를 갖추고 있다. 대구포, 말린문어, 잔절편, 나물, 식혜, 탕, 화전, 산자, 두부전, 튀각, 밤고임, 대추고임, 깨강정, 약과, 옥춘당, 곶감, 배고임 등이다. 밤섬도당굿 전안상의 제물은 메와 탕을 제외하면 다분히 유교식 제사의 제물과 비슷하다. 특히 대구포와 말린 문어가 바쳐지는 점은 이러한 경향성을 뚜렷하게 보여 준다.
이에 비해 수원
오수복(吳壽福)의 진적굿에서는 제물로 배, 포도, 참외, 오렌지, 귤, 사과, 밤, 호두, 땅콩, 딸기, 파인애플, 바나나, 백설기, 계피떡, 찰떡, 용떡, 계피팥떡, 밤모양과자, 다식과자, 옥춘, 국화방, 약과, 팔모, 삼색산자, 청주, 쌀, 쇠갈비, 쇠머리고기, 우족 등이 차려진다. 이 제물 역시 장군신령을 위해 마련되었다. 오수복전안상을 다른 말로 안주상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무당이 관리하는 신당에서 가장 중심된 신령인 몸주신을 위한 전안상에는 그 신령이 지닌 기능이 개입되어 제물이 마련된다.

반응형

'바로 여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석상 [帝釋床]   (0) 2015.01.31
정정괴   (0) 2015.01.31
장군상   (0) 2015.01.31
장구떡   (0) 2015.01.31
원미상   (0) 2015.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