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장구떡

반응형

장구떡

 

 

정의
서울 만신들이 본인의 신령들을 위한 진적굿 때 천장에 당(堂)을 메고, 그 위에 올렸던 떡의 하나.

내용
당떡’의 하나인 장구떡은 생김새가 악기인 장구 같다고 하여 이러한 이름으로 불린다. 정식 명칭은 당에 올리는 떡이므로 ‘당떡’이다.
서울의 무당들이 자신이 신을 받을 날을 생일처럼 여기고 한 해 한 차례 자신들의 신령들을 위해 진적굿을 한다. 진적굿을 할 때 차리는 제물로 장구떡을 올린다. 이때 제물은 많이 차리지 않고 당떡 세트를 만들어 올리는데, 당떡은 편떡, 웃기, 장구떡, 벙거지떡으로 구성된다. 당떡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이 사진 ‘벙거지떡’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의
서울 만신들이 본인의 신령들을 위한 진적굿 때 천장에 당(堂)을 매고 그 위에 올렸던 떡의 하나.

내용
벙거지떡은 ‘당떡’의 하나로, 그 생김새가 마치 벙거지 모양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당떡은 네 가지 떡을 탑처럼 쌓아 한 세트를 이룬다. 당떡의 가장 하단에는 평평한 직사각형의 편떡(계피팥편) 2개를 놓고 그 위에 웃기(전병)을 얹는다. 이때 웃기는 다른 떡에 올리는 원형이 아니라 다소 크게 눈사람 형태 내지는 타원형으로 만든다. 그 위에 장구 모형의 떡이라 이름 붙여진 장구떡을 얹는다. 그 위의 가장 상단에는 벙거지 또는 갓 모양의 벙거지떡을 얹는다. 벙거지떡은 찹쌀이 주재료이며, 찹쌀을 익반죽하여 동그랗게 돌려서 만들어 상단에 손잡이 같은 꼭지를 만든다.
서울의 무당들은 정기적으로 자신들의 신령들을 위해 굿을 한다. 기본적으로 자신이 신을 받았던 날을 생일처럼 관념하여 한 해 한 차례 진적굿을 한다. 전통적인 서울 만신, 이른바 구대인들은 진적 전에 ‘삼산돌기’를 했다. 삼산을 돈다는 개념으로, 핵심은 서울굿의 가장 높은 신격이라고 관념하는 상산 최영의 당에 가서 물고(허락)를 받아 오는 것이다. 이 당은 개성 덕물산에 있어서 그곳까지 갔다 와야 하지만 분단이 되면서 오늘날에는 인왕산 국사당이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이렇게 삼산돌기를 하여 진적굿을 하는 경우에는 굿 상 외에 세 개의 당을 매서 신령들의 좌정처로 삼았다. ‘사위삼당 또는 사해삼당’이라는 말을 관용어처럼 사용하고 있어서 세 개의 당을 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점차 이 전통이 사라지면서 당이 두 개, 한 개로 줄어들다가 오늘날에는 거의 당을 매지 않는다. 이 당 위에는 많은 제물을 차리지 않고 당떡 세 세트 올리는 것이 핵심이다. 편떡, 웃기, 장구떡, 벙거지떡이 하나의 세트를 이룬다.

반응형

'바로 여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안상  (0) 2015.01.31
장군상   (0) 2015.01.31
원미상   (0) 2015.01.31
용왕상   (0) 2015.01.31
용왕밥   (0) 2015.01.31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