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사상
불사상
정의
서울굿에서 불사(佛師)거리에 차리는 제물상.
내용
불사는 칠성(七星)·제석(帝釋)·천존(天尊) 등과 통하며, 이름이 다를 때도 상차림은 거의 같다. 이 때문에 한 상으로 불사거리와 제석거리를 치르거나 천궁맞이상으로 불사거리 또는 제석거리를 치르기도 한다. 불사거리는 승무와 유사한 복장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나 그 이름에서 불교 색채가 짙다. 불사상에 육류를 쓰지 않는 이유를 여기에 두기도 하지만 제석상이나 천궁맞이상과 유사한 굿상이라는 점에서 도교, 용왕신앙, 곡신(穀神)신앙과도 연관시킬 수 있다. 서울에서는 천신의 성격을 강조한다. 굿당에서는 주로 안쪽 왼편에 차려서 떡을 비롯해 생미와 맑은 물을 놓고 두부, 나물, 빈대떡, 과일, 조과를 올린다.
떡의 종류와 수는 굿의 규모와 상황에 따라 달라지지만 주로 세 접시를 많이 볼 수 있으며, 드물게 여섯 접시가 나타난다. 기본은 굵은 가래떡인 방망이떡(기둥떡 또는 증편이라고도 부름)으로, 한 접시에 세 개에서 여섯 개를 놓는다. 그리고 불사시루가 있다. 가장 정성이 들어간 불사시루의 예는 시루 바닥에 판을 깔고 설탕과 소금으로 간을 맞춘 쌀가루를 안친 다음 고명으로 통대추를 얹는다. 현재 대부분의 굿에서는 시루를 생략하고 백설기를 맞추어 접시에 담아 올린다. 떡을 담은 시루와 접시 위에는 찹쌀가루, 대추, 미나리 또는 쑥갓을 넣어 부쳐낸 흰 ‘잰병’ 또는 전병을 고명 웃기로 올린다. 그 외에 백설기, 인절미 등도 볼 수 있지만 붉은 팥떡은 쓰지 않는다.
생쌀은 그냥 올리기도 하지만 쌀그릇에 숟가락을 꽂고 명주실을 올려 ‘액그릇’이라고 하기도 한다. 보통 서울굿의 불사거리보다 제석거리에서 더 자주 볼 수 있다. 밥을 올리기도 한다. 밥은 제기에 담아서 한 그릇 또는 세 그릇을 올린다. 물은 옥수(玉水)라고도 부르며 놋쇠 제기에 담기도 하고 찻잔에 담기도 한다. 물 대신 차(茶)를 쓰기도 한다. 이 차는 보통 찻잎을 우려낸 것이 아니라 물에 대추나 통후추를 띄운 것으로, 대추차·후추차(호초차)라고 부르며 무가(巫歌)에도 언급된다. 이는 단순한 물보다 한층 정성을 다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 밖에 생두부 또는 부친 두부와 빈대떡을 올린다. 나물은 흔히 삼색나물을 쓴다. 고사리·도라지·시금치가 기본이며, 시금치 대신 숙주 또는 무나물을 쓰기도 한다. 1970년대까지는 숙주 또는 무나물을 쓰는 경우가 더 많았다고 한다. 삼색나물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 각 나물이 신과 조상과 인간을 상징한다는 설명도 있고 하늘로 자라는 고사리, 땅에서 캐는 도라지, 물에서 나는 숙주라는 설명도 있다. 드물게 튀각을 더하기도 한다. 또 불사상에 생미나리를 20cm 정도 크기로 잘라 다홍실로 묶어 올리는 경우가 당굿과 진적굿 등에서 나타난 예가 있다. 미나리는 생명력을 의미한다.
과일과 조과는 불사상에 따로 올리지 않고 굿상 전체의 앞줄 또는 뒷줄에 길게 배열하는 일이 많다. 단 밤과 대추는 불사상에 꼭 올라간다. 생밤과 생대추를 접시에 놓으며, 불사거리 중에 이 접시를 굿 의뢰자의 품에 쏟아 그 수를 가지고 복을 점치기도 한다. 이를 “산을 준다“라고 한다. 나머지 과일은 사과·배·감을 기본으로 하여 3-5-7-9-12종으로 늘어나며, 복숭아를 빼면 종류에 제한이 없다. 조과는 산자·약과·다식을 기본으로 하여 3-5-7-9-12종으로 늘어난다. 조과에서는 옥춘, 팔보, 하스, 밤과자, 곶감 등을 볼 수 있다.
음식 외에 불사상에서 볼 수 있는 무구로는 흰 종이를 접은 고깔, 흰 창호지 한 장을 여러 번 접어서 오려 만든 불사전, 한지를 길게 3등분하여 이를 꼬아 꽃잎 모양으로 만들어서 떡 위에 놓는 새발심지가 있다. 무화(巫花)로는 흰색 한지로 만든 천궁맞이꽃이나 불사꽃을 꽂는다고 하지만 현재는 실례를 거의 보기 어렵다.
이 글을 공유하기